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정책 소식

TSMC 트럼프 관세에도 성장 자신! 반도체 시장 지배력 유지

by wisechoice79 2025. 2. 11.
반응형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 위협과 대만 지진 등의 변수에도 불구하고 2025년 매출 성장 목표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압도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인텔 등 경쟁사에 대한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입니다.

트럼프 관세 및 대중국 규제 속에서도 성장 자신

TSMC는 2025년 매출이 지난해 대비 25%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바이든 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대만산 반도체 최고 100% 관세 부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나온 발표입니다.

TSMC의 미국 고객사 비중이 크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2024년 대만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53억 대만달러(약 2345억 원)의 손실을 입었으나, 이를 충분히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2나노 공정 및 반도체 패키징 투자 성과

TSMC가 강한 성장세를 자신하는 이유는 7나노 이하 첨단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력과 고객사에 대한 가격 협상력 덕분입니다. 삼성전자 및 인텔과 비교했을 때 TSMC는 3~5나노 미세공정에서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만과 해외 공장 확장을 통해 생산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양산을 앞둔 2나노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대만에 다수 신설하며, 미국과 일본 공장도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더불어, 엔비디아 인공지능(AI) 반도체에 핵심적인 첨단 반도체 패키징 설비에도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성장과 TSMC의 전망

시장 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지난해 대비 약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는 3~5나노 미세공정 및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 프로세서 및 AI 반도체 위탁 생산 수요를 흡수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반응형

카운터포인트는 "TSMC는 AI 서버 수요 증가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이라며 "파운드리 및 반도체 패키징 시장에서 지배력을 유지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결론

TSMC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변수와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기술력과 투자 확대로 성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2나노 공정 및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