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정책 소식

SK하이닉스, 삼성 제치고 D램 1위 등극! HBM 덕에 1분기 실적 '깜짝 기대'

by wisechoice79 2025. 4. 14.
반응형

AI 시대의 핵심 메모리 HBM 덕분에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삼성과 마이크론을 넘어선 SK하이닉스의 2025년 1분기 실적 기대감과 TSMC와의 협력 강화 등 업계 반응을 정리해봅니다.

글로벌 D램 시장 1위, SK하이닉스가 해냈다

SK하이닉스가 마침내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에 올랐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SK하이닉스의 D램 시장 점유율은 36%로, 삼성전자(34%)와 마이크론(25%)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고성능 메모리인 HBM의 수요 급증에 SK하이닉스가 빠르게 대응한 덕분입니다. SK하이닉스는 HBM3E 12단 제품을 NVIDIA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 중이며, 후속 제품인 HBM4 샘플도 조기 공급을 시작해 기술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분기 실적도 '어닝 서프라이즈' 기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7조1842억 원, 영업이익 6조51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 126% 급증한 수치입니다. 이는 레거시 D램 수요 회복과 함께 미국발 관세 이슈로 인한 선제 수요 증가 등이 겹쳐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이미 발표한 가운데, SK하이닉스 역시 ‘깜짝 실적’ 발표가 예상됩니다.

AI 시대, HBM 수요 폭발…TSMC와 동맹 강화

SK하이닉스는 HBM 분야 선두 자리를 지키기 위해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1위인 TSMC와의 협업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대만을 방문해 TSMC 웨이저자 회장과 회동하며 HBM4 및 고급 패키징 기술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HBM4부터 TSMC의 로직 선단 공정을 도입해, 성능과 전력 효율을 모두 잡겠다는 계획입니다. 하반기에는 HBM4 양산과 함께 HBM4E의 공급도 예정되어 있어,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TSMC 심포지엄 참가로 글로벌 존재감 과시

SK하이닉스는 오는 23일 미국 샌타클래라에서 열리는 'TSMC 테크놀로지 심포지엄'에도 참가할 예정입니다. 이 자리에서 SK하이닉스는 하반기 양산 예정인 HBM4, 차세대 그래픽 D램 GDDR7 등을 공개하며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관계를 한층 강화할 전망입니다.

반응형

SK하이닉스, 진짜 전성기가 온다

33년 만에 글로벌 D램 1위에 오른 SK하이닉스는 이제 명실상부한 AI 메모리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TSMC와의 기술 협업, HBM 제품의 선제 공급, 그리고 AI 시대를 겨냥한 전략적 행보를 통해 2025년 한 해 동안 더욱 강력한 존재감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